학습 내용과 방법의 효과를 검증하였습니다.
한글 자음자와 모음자를 쉽게 배울 수 있습니다.
한글 받아쓰기를 쉽게 익힐 수 있습니다.
학습 단계가 매우 체계적입니다.
재미있게 공부할 수 있습니다.
스토리텔링 기법을 도입하여 흥미 있게 공부할 수 있습니다.
초등학생들을 가르친 경험이 풍부한 최고의 전문가들이 만들었습니다.
학습 어휘는 국어・사회・과학 등의 교과서에서 선정하였습니다.
원리 학습을 통하여 사고력을 기를 수 있습니다.
이병규
현 서울교육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
문화체육관광부 국어정책과 학예연구관
문화체육관광부 국립국어원 학예연구사
서울교육대학교 국어교육과 졸업
연세대학교 대학원 문학석사, 문학박사
2009 개정, 2007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심의 위원
2015 개정 교육과정 심의회 국어 소위원회 부위원장
2009 개정 국어과 초등학교 국어교과서 기획・집필 위원
초등 교사 임용 시험, 공무원 채용 시험 출제 위원 등 역임
대단원 이름 | 소단원 번호 | 소단원 이름 |
13장 ‘콧소리·흐름소리’ 되기와 쓰기 마법 | 56 | 콧소리로 바뀌어 소리 나요(학년/항년) |
57 | 콧소리로 바뀌어 소리 나요(거짓말/거진말) | |
58 | ㄴ소리로 바뀌어 소리 나요(쌓는/싼는) | |
59 | 콧소리로 바뀌어 소리 나요(밥물/밤물) | |
60 | 콧소리로 바뀌어 소리 나요(음료수/음뇨수) | |
61 | 흐름소리로 바뀌어 소리 나요(줄넘기/줄럼끼) | |
10장 ‘겹받침소리’의 변신과 쓰기 마법 | 62 | 겹받침의 앞 자음자가 소리 나요(앉는다/안는다) |
63 | 겹받침의 뒤 자음자가 소리 나요(닮는다/담는다) | |
64 | 겹받침이 넘어가요(앉아/안자) | |
65 | 겹받침이 헷갈려요(넓다/널따, 밟다/밥따) | |
66 | 겹받침이 헷갈려요(맑다/막따, 맑고/말꼬) | |
11장 헷갈리는 말과 쓰기 마법 | 67 | 강한 소리가 나면 받침에 ㅅ을 써 줘요(나뭇가지/나무까지) |
68 | ㄴ 소리가 생기면 받침에 ㅅ을 써 줘요(빗물/빈물) | |
69 | 소리 나는 대로 쓰면 안 돼요(할게/할께) | |
70 | ‘이’나 ‘히’로 써요(깨끗이/솔직히) | |
71 | 비슷해서 헷갈려요(맞히다/맞추다) | |
72 | 비슷해서 헷갈려요(바람/바램) | |
73 | 비슷해서 헷갈려요(돼요/되요) |
제목 | 작성자 | 날짜 | |
---|---|---|---|